블로그 이미지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것을 할수 있느니라 - 빌립보서 4 : 13 - happydong

카테고리

Happydong (1363)
프로그래밍 (156)
MUSIC (16)
인물 (3)
Utility (10)
세미나 소식&내용 (22)
IT뉴스 (18)
운동 (830)
CAFE (10)
Life (282)
Total
Today
Yesterday

'프로그래밍'에 해당되는 글 156건

  1. 2010.03.23 인터넷 정의
  2. 2010.03.22 정보통신의 개념
  3. 2010.02.27 [Silverlight 3][월간 Web. 2010.01] 실전활용!! - Behavior를 사용하자 (3)



ㅁ 인터넷 정의

 네트워크들을 연결해 놓은 네트워크 : Network of Network

 - Internet[대문자] / internet[소문자]
 1. Internet(고유명사)
   미국방성 주도의 ARPANET에서 출발한 TCP/IP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
 2. internet(기술적 측면)
   상호 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네크워크를 연결한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nternet은 internet의 한 종류라고 할수 있다.

ㅁ 인터넷의 특징

 1.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클로벌 네트워크이다.
 2. 인터넷은 네트워크를 연결해 놓은 네트워크이다.
 3.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 동작한다.
 4. 패킷 교환망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5. 중앙 통제기구가 없다.

ㅁ 인터넷의 역사

 1969년 : 미 국방성의 ARPA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탄생.
   국방성의 중앙컴퓨터,UCLA와 스탠포트 대학, UCBS 및 유타 대학 등의 컴퓨터를 연결
 
 1974년 : TCP/IP 프로토콜 디자인
 
 1982년 : TCP/IP(de facto) 프로토콜로 채택
  de facto : 사람들이 많이 사용해서 표준처럼 되어버린 표준을 의미.
  dejure : de facto의 반대로 산업적 표준을 의미

 1984년 : Domain Name 시스템 개념의 도입

 1986년 : 미 과학재단(NSF)에 의해서 NSFNET개발

 1990년 : ARPANET 소멸, 기존의 군사용 네트워크는 MILNET로 존재

 1993년 : InterNIC 설립과 모자이크 개발

 1994년 : Netscape 개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초기 NSFNET의 연결 형태]



ㅁ 인터넷 접속도(국내입장)

 우리 나라에서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 크게 두가지 네크워크가 있다고 보면 되는데 이는 아래와 같다.

 - 국내 학술 연구망 : 순수 연구의 목적으로 만들어짐.
  . 한국 통신의 HANANET
  . 서울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교육전산망인 KREN
  . ETR에서 운영 중인 KREONET 등

 - 국내 상용망(ISP) : 돈을 내고 사용함.
  . KORNET
  . INET
  . 데이콤
  . 나우누리 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세계 인터넷 접속도]

 1. IP주소(IP Address)
  . 사람들이 편지를 주고 받을 때 주소가 필요한 것처럼 인터넷 상에서도 송수신 컴퓨터의 주소가 필요.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숫자로 구성된 주소.
  . 네트워크 주소(Network ID)와 호스트 주소(Host ID)로 구성.
  . 인터넷의 주소체계는 Dotted Decimal Notation(e.g 210.102.150.219)
    - Dotted Decimal Notation : 10진수로 되어있고, 점으로 찍혀있는 표기법.
  . KRNIC에서 주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 주소]


 
 2. Domain Name(Host Name)
  . IP 주소는 숫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기억하기 어렵다.
  . 숫자 대용으로 똑같은 주소 의미
  . 기관별, 국가별 등 최상위 도메인(domain)과 도메인(sub_domain)으로 구성

     - 기관별 최상위 도메인 :
 edu : 교육기관(mit.edu)
 com : 상업적 회사 혹은 기업체(microsoft.com)
 gov : 정부기관(whitehouse.gov)
 net : 네트워크 관련 기관(Internic.net)

     - 국가별 최상위 도메인 :
 au  : 호주
 uk  : 영국
 cn  : 중국
 us  : 미국
 fr  : 프랑스
 hk  : 홍콩
 jp  : 일본
 kr  : 한국

     - 국가도메인의 부 도메인
 co  : 회사(kotel.co.kr)
 re  : 연구소(etri.re.kr)
 ac  : 학술기관(skku.ac.kr)
 go  : 정부기관(bluehouse.go.kr)
 nm  : 네트워크(hana.nm.kr)

ㅁ DNS(Domain Name System)

 . 실제로 컴퓨터가 통신을 수행할 때 Domain Name은 사용할 수 없으므로 IP 주소로 변환해야 한다.
 . DNS는 자신의 도메인에 속한 IP주소에 대한 Domain name을 보유하고 있다.
 . 어떤 IP주소에 해당하는 Domain Name을 요청하거나 그 반대의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명령어를 통해 IP Address를 알아올수 있다. nslookup 도메인명)


 

Posted by happydong
, |



ㅁ 정보통신의 개념

  데이터 :
   1. 사용자간에 합의된 임의의 형태로 형식화된 사실과 개념, 명령 등을 표현한 것이다.
   2. 컴퓨터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는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2진 형택의 단위를 나타낸다.

  정보 :
   1. 수많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말한다.
   2. [예] "오늘 아침은 비가 온대" "오늘 약속시간이 저녁 6시야" 등

  통신 :
   - 정보 제공자(source)와 정보 수여자(destination)간의 정보의 이동현상으로 정의

  정보통신 :
   1. 데이터, 음성, 화상, 영상 등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 및 처리하는 종합적인 기술
   2.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수신 및 활용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과 수단


ㅁ 정보통신의 서비스 유형

 정보통신의 서비스를 나누는 방법은 전달되는 형태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음성통신, 데이터통신, 화상통신, 영상통신, 멀티미디어 통신으로 나눠진다.

 . 음성통신 : 교환서비스, 음성원격회의, 음성정보 서비스
 . 데이터 : 전자우편, 화일전송, 컴퓨터원격회의 (0과1로 보내는 통신 바이널이 통신)
 . 화상 : 팩시밀리, 그래픽전송
 . 영상 : TV 방송, 원격회의
 . 멀티미디어 : 원격교육, 원격회의(복합적인)


ㅁ 네트워크란? 

 1. 어떤 공동의 목적을 위해 다수 지점간에 상호 연결된 통신형태이다.
 2.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체계이다.

 (어떤 목적을 지니고 그 목적을 위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형태가 네트워크이다.)


ㅁ 네트워크 구성 방법

 1. 컴퓨팅 장치
    PC, 프린트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컴퓨팅 장치들에게 물리적 통신 기능 부여
    한 호스트에서 여러 개의 NIC 설치 가능
    LAN카드

 3. 케이블링 시스템
    TP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무선(Radio, microwave)

 4. 액세스 장치와 집중화기
    한 중심점을 통해 여러 장치들을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는 장치
    Hub

 5.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관련 작업을 수행할 때 NIC에 접근 작업을 수행하는 S/W
    Network OS

 6. TCP/IP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TCP/IP 프로토콜
    이기종의 컴퓨터 네트워킹 환경에서, 서로 다른 운영 환경을 가지는 컴퓨터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하는 프로토콜.
    UNIX, Windows, 등


Posted by happydong
, |




이 내용은 월간 Web에 2010년 01월호에 기고했던 내용 입니다!!

[바로가기]
실전활용!! - Behavior를 사용하자 (1)
실전활용!! - Behavior를 사용하자 (2)
실전활용!! - Behavior를 사용하자 (3)



Behavior

 

 Behavior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객체에 행동을 붙어 주는 녀석입니다. Behavior에는 MouseDragElementBehaviorFluideBahavior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쉽게 많이들 사용할 수 있는 MouseDragElementBehavior에 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MouseDragElementBehavior

MouseDragElementBehavior는 내가 원하는 객체에 붙어주기만 하면 드래그가 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럼 간단한 예제를 통해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 소스는 HyperlinkAction때 사용했던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고, 이 이미지 컨트롤에 MouseDragElementBehavior를 붙어서 이미지를 움직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XAML파일에 이미지컨트롤을 올려두고, 예전 예제들같이 Assets  >>  Behaviors >> MouseDragElementBehavior를 선택 한 후 드래그를 해서 이미지컨트롤에 붙어 두도록 합니다.

 

[그림4-1]

 

 예전 예제들과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 이젠 지루하면서도 능숙하게 잘하실 것이라 생각이 드는군요, 그럼 바로 이제는 속성 창에서 속성 내용을 지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림4-2]

 그림4-2를 보시는 거와 같이 MouseDragElementBehavior 속성이 별로 없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는데요, 이렇게 노출된 속성도 안 아주 간단합니다.

 

-       Common Properties 속성 관련
 . ConstrainTopParentBounds :
이는 드래그 당하는 객체가 부모 컨트롤 밖으로 나갈 수 있는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체크되면 부모의 창에서 벗어 날수가 없게 됩니다.)
 . X :
현재 컨트롤의 X 좌표입니다
.
 . Y :
현재 컨트롤의 Y 좌표입니다.

 

간단하게 설정이 끝났습니다. 너무 쉽지요!! 마우스로 그냥 클릭클릭 몇 번으로 이렇게 드래그가 되다니! 정말 놀랍지 않습니까?? 예전 같았으면은 이벤트를 몇 개를 만들어서 Point로 객체의 위치 찾고 , 계산하고 등등에 아주 번거로운 일들을 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Silverlight 3에서 기본적으로 MouseDragElementBehavior로 제공해 주니 재사용 성도 좋고, 어떤 객체든간에 쉽게 붙 일수 있으니 정말 편한 것 같습니다. 그럼 위 작성한 내용을 가지고 컴파일 후 실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4-3]

 

 그림4-3은 실행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면, 1번 실행화면은 ConstraninTopParentBounds를 체크하지 않은 모습이고, 2번 실행화면은 체크한 모습입니다. 2번의 경우 부모 Grid에서 구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을 겁니다.

 

-       FluideBahavior

FluideBahavior는 컨트롤의 위치가 변경될 때 애니메이션을 통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Behavior입니다. , 레이아웃이 변경되었을 때 컨트롤이 자연스럽게 위치를 다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애니메이션을 지정해 주는 것 입니다. 이 예제는 따로 없습니다. Behavior 예제와 비슷하므로 따러 예제코드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Behaviors에 관해서 알아 보았는데요, 정말 쉽지 않습니까!! Silverlight 2에 비해서 Silverlight 3은 비헤이비어를 통해서 코드비하인드에서 작성해야 할 코드가 많이 줄어 들었습니다. 또한 비헤이비어는 요즘 각광 받고 있는 MVVM패턴에도 아주 잘 어울리며, 비헤이비어를 여러 가지 내용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Silverlight 3에서 정말 편한고 필요했던 내용들이 많이 적용이 되었습니다. 비헤이비어는 그 중 제일 유용한 내용이라고 생각하며, 실무에서도 활용도가 제일 높을 것이라고 필자는 확신합니다.

Demo.zip


※ 예제 파일을 첨부해 놓습니다!!

Posted by happydo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