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것을 할수 있느니라 - 빌립보서 4 : 13 - happydong

카테고리

Happydong (1363)
프로그래밍 (156)
MUSIC (16)
인물 (3)
Utility (10)
세미나 소식&내용 (22)
IT뉴스 (18)
운동 (830)
CAFE (10)
Life (282)
Total
Today
Yesterday



DB 이전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DB의 계정 정보도 같이 옮겨 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만약, 계정이 많지 않다면 DB를 옮겨 주고, 이전한 서버에서 하나하나 계정을 만들어 주면 된다. 하지만, 계정이 여러개이고, 각 계정의 비밀번호를 모른다면.... 대략 난감할 것 이다. 이런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1. 기존 DB 서버에 SQL Management Studio를 이용해 접속을 한다. 


 기존 DB서버에 접속후 SQL Management Studio를 실행한다. 그리고 쿼리 편집장을 열도록 한다. 


 2. 아래 쿼리를 복사해서 실행을 한다. 




 ** 위 쿼리를 실행하면 두개의 프로시져가 Master DB에 생성 되었을 것이다. (sp_hexadecimal , sp_help_revlogin)


 3. 만들어진 프로시져 "sp_help_revlogin"을 실행한다. 




 ** 프로시져를 실행하면 모든 계정 정보가 출력 될 것 이다. 출력 된 내용을 메모장에 저장해 둔다. 

 4. 이전하려는 DB서버 접속 후 SQL Management Studio를 실행한다. 

 출력된 목록 중 시스템 계정을 제외한 사용자 계정을 복사해, 이전하려는 DB 서버에 SQL Management Studio를 실행 후 내용을(사용자 계정 스크립트) 복사해서 실행한다.

 5. 이전하려는 서버에서 계정이 잘 등록 되었는지, 로그인을 시도해 본다. 


 참고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kb/918992?wa=wsignin1.0


Posted by happydong
, |



 웹개발을 하다 보면 .js 파일 또는 .css파일들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여러가지 툴을 이용해서 경량화를 할 것이다. 나와 같이 비쥬얼 스튜디오(Visual Studio)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는 개발자들이라면 좀더 편하고 쉽게 경량화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비쥬얼스튜디오와 잘 통합되어 .js, .css파일들의 min파일로 만들어 주는 "Microsoft Ajax Minifier" 있다. 이는 비쥬얼스튜디오 빌드 작업과의 통합을 시킬수 있으며, 콘솔 커맨드 기능, DLL참조를 통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ㅁ 사용 방법


 비쥬얼스튜디오 2010이상 설치되어 있다면,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을 것이다. 만약 2010이하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따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야 한다. (다운로드 주소 : http://ajaxmin.codeplex.com/) 그럼 이제 순서대로 어떻게 적용 할 수 있는지 알아 보자.


 1. 프로젝트 구성 확인


[그림 1 - 프로젝트 구성 화면]


 [그림 1]은 프로젝트 구성 내용을 보여준다.  그림에 보면 .js파일들이 Scripts폴더와 Res 폴더 밑에 js폴더에 있는 것이 확인 되며, .css파일들은 Content폴더와 Res폴더 밑에 css폴더에 있다. 


 2. 프로젝트 언로드 


[그림 2 - 프로젝트 언로드]


 프로젝트 파일에서 우클릭을 해서 [그림2]와 같이 메뉴가 나타나게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언로드" 메뉴을 클릭한다. 그럼 해당 솔루션 파일에서 프로젝트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할 것이다. 


 3. 프로젝트 구성 편집


  

 [그림 3 - 프로젝트 구성 편집]


  비활성화되어 있는 프로젝트를 우클릭해서 "편집 [프로젝트이름].csproj"를 클릭해서 편집 창이 열리도록 한다. 

편집창이 열리면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나타날 것 이다. 그럼 마우스를 쭈욱 내려서 <project>엘리먼트가 끝나는 바로 앞에 아래 설정을 정의 하자.


 <UsingTask TaskName="AjaxMin" AssemblyFile="$(SolutionDir)_Lib\MicrosoftAjax\AjaxMinTask.dll" />  

<Target Name="AfterBuild">

    <ItemGroup>

      <JS Include="**\*.js" Exclude="**\*.min.js;Scripts\*.js" />

      <CSS Include="**\*.css" Exclude="**\*.min.css;Content\*.css" />

    </ItemGroup>

    <AjaxMin JsSourceFiles="@(JS)" JsSourceExtensionPattern="\.js$" JsTargetExtension=".min.js" CssSourceFiles="@(CSS)" CssSourceExtensionPattern="\.css$" CssTargetExtension=".min.css" />

  </Target> 

 [코드 1]


 - UsingTask : UsingTask 엘리먼트는 해당 프로젝트에서 AjaxMinTask.dll을 사용 할 것을 나타낸다. UsingTask 말고 Import 엘리먼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AssemblyFile는 현재 솔류선위치에서 AjaxMinTask.dll의 위치까지 경로를 지정해 준다. 

 - Target : 빌드 타켓을 나타낸다. 이름에서 AfterBuild는 빌드이후에 수행할 것을 의미한다.

 - ItemGroup : ItemGroup 엘리먼트는 JS, CSS 엘리먼트를 하위에 두어 작업을 정의한다.  

 - JS : Include는 작업을 수행할 파일들을 정의 한다. "**\*.js"는 모든 파일을 지정함을 뜻한다. Exclude는 작업에서 제외될 사항을 정의하며, "**\*.min.js;Scripts\*.js"는 .min.js 파일로 되어 있는 것과 Scripts폴더 하위 .js파일은 제외 한다는 뜻이다. 

 - CSS : JS 설정과 동일하다. 

 - AjaxMin : 실행을 위한 속성 타켓들을 지정해 준다. 


 4. 프로젝트 로드


[그림 5 - 프로젝트 다시 로드]


 모든 설정이 끝났다면 프로젝트 파일에서 우클릭, 프로젝트 다시 로드 메뉴를 클리해서 프로젝트를 활성화 시킨다. 


 5. 프로젝트 빌드 


[그림 6 - 프로젝트 빌드]


 프로젝트를 빌드를 진행하다. 빌드가 끝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프로젝트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파일 표시를 해본다. 


[그림 7 - 모든 파일 표시]


 [그림 7]과 같이 모든 파일 표시를 클릭하게되면 프로젝트에 포함되지 못한 파일들이 보일 것이다.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어 AjaxMin이 이루어 졌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Res폴더의 css폴더와 js폴더에 .min파일이 생겼을 것이다. 


[그림 8 - min파일 생성]


해당 min파일들을 우클릭해서 프로젝트에 포함시키도록 한다. 


[그림 9 - 프로젝트 포함]



이상 "Microsoft Ajax Minifier"에 대한 사용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 보았다. 



ㅁ 참고 자료

https://thefrontend.wordpress.com/2012/02/02/minify-javascript-and-css-files-when-publishing-web-applications/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t4w159bs.aspx



Posted by happydong
, |




  우분투에 MariaDB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MariaDB는 오픈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GPL v2 라이선스를 따른다. 오라클 소유의 현재 불확실한 MySQL의 라이선스 상태에 반발하여 만들어졌으며, 배포자는 몬티 프로그램 AB(Monty Program AB)와 저작권을 공유해야 한다.이것은 MySQL과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MySQL APIs와 명령에 정확히 매칭하여, 라이브러리 바이너리와 상응함을 제공하여 교체 가능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마리아 DB에는 새로운 저장 엔진인 아리아(Aria)뿐만 아니라, InnoDB를 교체할 수 있는 XtraDB 저장 엔진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트랜잭션과 비트랜잭션 엔진 그리고 미래에 나올 MySQL 판에 대응하고자 함일 것이다. 


 마리아 DB의 주요 개발자는 MySQL과 몬티 프로그램 AB를 설립한 마이클 몬티 와이드니어스(Michael Monty Widenius)이다. 그는 이전에 자신의 회사, MySQL AB를 썬마이크로시스템즈에 10억 달러에 판매를 한 적이 있으며, 마리아 DB는 그의 둘째 딸인 마리아의 이름을 딴 것이다.(위키백과 참고 : http://ko.wikipedia.org/wiki/MariaDB)


1. MariaDB 설치를 위한 우분투 설정.


 먼저 MariaDB 공식 사이트에 접속 한다. (https://mariadb.org/)



[그림 1 - MariaDB 공식 사이트]


 [그림 1]과 같이 사이트에 접속해서 왼쪽에 메뉴들중에 "Repository Configuration Tool"이라는 항목을 클릭하도록 한다. 그럼 OS종류를 선택하도록 나오는데, 여기에서 "Ubuntu"를 클릭하고, 해당 우분투 버전을 선택한다. 그 다음 설치할 MariaDB의 버전을 선택하도록 한다. 설치할 버전까지 선택을 하게 되면, 친절하게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그림 1]의 Commands 참고.)




[그림 2 - apt-get 추가 설치]


  sudo apt-ge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그림 2]와 같이 위 커맨드(Command)를 입력하게 되면 sudo 권한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받게 된다. 이때 root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된다. "software-properties-common" 패키지 안에 repository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기 때문에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림 3 - apt-key 설정]



  sudo apt-key adv --recv-keys --keyserver hkp://keyserver.ubuntu.com:80 0xcbcb082a1bb943db


apt-key 서버 정보를 입력한다. 




[그림 4 - repository 추가]


 

  sudo add-apt-repository 'deb http://ftp.kaist.ac.kr/mariadb/repo/5.5/ubuntu trusty main'


 MariaDB에 맞는 버전의 repository정보를 추가하도록 한다.



[그림 5 - apt-get update]



  sudo apt-get update


현재까지 설정한 apt-get 정보를 업데이트 하도록한다.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설정 정보가 반영됨)



2. 마리아(MariaDB) 설치.




[그림 6 - MariaDB 설치]



 sudo apt-get install mariadb-server


 [그림 6]과 같이 인스톨 커맨드를 날려서 MariaDB설치를 진행하도록 한다. 설치에 대한 디스크 사용공간에 대해서 컴펌을 요구하는데, Yes를 선택후 계속 진행하면된다. 




[그림 7 - MariaDB의 root계정 비밀번호 설정]


 [그림 7]과 같은 화면은 MariaDB의 root계정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모습이다. 적절한 비밀번호를 선택하고 엔터를 누르면된다. 




[그림 8 - MariaDB의 root계정 비밀번호 재확인]


 [그림 8]은 [그림 7]에서 입력한 비밀번호를 재확인하는 화면이다. 다시한번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그림 9 - MariaDB 접속]


 MariaDB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접속을 해보도록 한다. [그림 9]와 같이 커맨드창을 열어서 우분투 root계정으로 변경하도록 한다. 

 su 


 위와 같이 커맨드를 날리면 비밀번호를 물어보는데, root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된다. 



 mysql -u root -p


 MariaDB는 mysql의 connection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커맨트를 날려두 MariaDB에 접속 할 수 있다. 이는 MariaDB가 mySql하고 비슷한 이유이다. 계정 접속이 잘 되었다면 "Welcome to the MariaDB monitor."라는 문구가 보이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잘 설치 된 것이다. 





 



 

Posted by happydo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