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것을 할수 있느니라 - 빌립보서 4 : 13 - happydong

카테고리

Happydong (1363)
프로그래밍 (156)
MUSIC (16)
인물 (3)
Utility (10)
세미나 소식&내용 (22)
IT뉴스 (18)
운동 (830)
CAFE (10)
Life (282)
Total
Today
Yesterday

'프로그래밍'에 해당되는 글 156건

  1. 2007.12.04 AJAX 방명록 만들기[8]
  2. 2007.12.03 Excel파일 내보내기...
  3. 2007.11.29 [무한도전] Silverlight 메뉴바 만들기 (6)



AJAX 방명록 만들기[8]

날씨도 쌀쌀해 지고 있네요.. 감기들 조심하세요~^^
AJAX 방명록 만들기[7] 부분에서 데이터를 DB에 넘기는 부분을 다루어 봤습니다^^ 이번에는 DB에 있는 데이터를 리스트 형식으로 보여주는 코드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DataList를 사용해서 만들어서 페이징을 따로 구현을 해야합니다. 그래서 먼저 페이징 구현소스를 먼저 보고, DataList 관련 소스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말이 잘이해가 않되시더라도 코드를 보면서 하나하나 따라해 보세요~^^; 그리고 제가 항상 말하는 거지만 저 또한 초보개발자 입니다~!그래서 저와 같은 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꼭 옮은 것은 아닐수도 있음을 기억해주세요~!ㅋ 우리 같이 더 넓은 미래를 향해 달려가자구요~ㅋㅋ 자~이제 헛소리는 그만하고 아래 코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aspx페이지

 function DoPage(current)

{

document.getElementById("<%= hiddenPage.ClientID %>").value = current;

<%= Page.ClientScript.GetPostBackEventReference(pageBind, "") %>

}

<asp:LinkButton ID="pageBind" runat="server" OnClick="pageBind_Click">

</asp:LinkButton>

<asp:HiddenField ID="hiddenPage" runat="server" Value="1" />

위 코드를 보시면 JavaScript 함수도 있고... LinkButton도 있고....HiddenField도 있는 것을 볼 수있습니다. JavaScript 함수는 사용자가 페이지를 이동할 때 클릭 이벤트에서 사용 되어질 함수이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선택한 페이지의 번호로를 HiddenField 에Value 값으로 넣게되면서 임의적으로 LinkButton에 이벤트를 주는 것입니다. 자~ 그럼 이제는 비하인드 코드에서 어떻게 코드가 구성이 되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Guest_Board.aspx.cs페이지

private int currentPageIndex; //보여질 페이지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currentPageIndex = int.Parse(hiddenPage.Value);

Page_Number();

}


위 코드는 페이징에 필요한 변수들을 선언해 두었구요~그리고 Page_Load 이벤트에서 일어
날 행위들을 정의한 부분입니다. Page_Load 이벤트 설명으로는 위에 선언한 변수 currentPageIndexHiddenField의 Value 값(기본값 1로지정했음)을 넣어주고 있고요!! Page_Number 라는 메소드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그럼 Page_Number 메소드의 소스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Guest_Board.aspx.cs페이지

protected void Page_Number()

{

bclass.Procedure(2);

totalCount = bclass.total;

 

Page_List();

 

//바인딩 부분

ListBind();

}


Page_Number
라는 메소드가 어떤 행위를 하는지 살펴보면,
처음에는 boardClass에 있는 Procedure라는 메소드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인자 값으로 2를 넘기고 있고요. boardClass 와 Procedure 메소드는 지난 강좌부분에서 다루었으므로 따로 설명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그래도 혹 제가 이런말을 한다고 해서 상처 받는 사람이 있으면 안되기 때문에 Procedure 메소드에 대해 살짝 말하자면 그저 메소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Procedure를 정의한 메소드입니다. 인자값은 해당 Procedure를 사용하기위한  조건의 값이 되겠구요~^^ 자 아래 코드는 해당 Procedure에 조건 부분만 간추려온 소스 입니다. 지난 강좌 부분에 해당 소스가 있기때문에 이해안가시면 지난 강좌를 참고해 주세요~^^;;

Guest_Board.aspx.cs페이지

private int total_Count; // boardClass의 전연변수 선언

....중간 생략...

else if (num == 2)

{

query = "total_count";

total_Count = dcon.GetCheck(query);

}


역시 위에서 설명한데로 Procedure 명을 정의하고있지요~^^;;그럼 total_count 프로시져에 대
해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total_count Procedure

create proc total_count

as

select count(*) bSeq from guest_board

 

GO


간단합니다..ㅋ 너무 간단해서 부끄럽네요~^^;;;
그 다음 코드를 보니깐 dbclassGetCheck 라는 매소드를 호출하고 있고요, 호출한 값을 전역 으로 선언해둔 total_Count 변수에 할당을 하고 있네요..대충 추측해 보시면 알겠지만 반환값이 있는 메소드인듯 하지요~인자값은 query(프로시져명)라는 값을넘기고 있네요. 그럼 GetCheck 메소드의 소스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dbclass.cs 페이지

public int GetCheck(string procedure)

{

Comm.Connection = Conn;

Comm.CommandText = procedure;

Comm.CommandType = CommandType.StoredProcedure;

return (int)Comm.ExecuteScalar();

}


역시 int 형의 return 값이 있네요..ㅋㅋ 위 코드는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코드이겠죠!^^
위 코드의 일부는 지난 강좌에서도 다루었던 내용이므로 따로 설명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있는 ExecuteScalar 함수는 쿼리를 실행하고 쿼리에서 반환된 결과 집합의 첫번째 행의 첫번째 열을 반환하는 역활을 해줍니다.(MSDN 참고). 리턴된 값은 위에서 와 같이 변수에 할당이 됩니다. 자~그럼 다시 제일 위로 올라가서... 보시면 totalCount 변수에 bclass 의 total을 호출하네요 보니깐 Property 인것 같은데요.아래 코드를 보도록 하시죠~^^ 

 boardClass.cs페이지

 public int total

{

get { return total_Count; }

}

아까 db에 연결해서 총수를 가지고 와서 그걸 boardclass에 있는 total_Count 변수에 넣었잖아요!이제는 그값을 Page 쪽으로 값을 넘기고 있네요.^^ 그 다음 코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변수에 총수를 할당하고 나서는 Page_List라는 메소드를 호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Guest_Board.aspx.cs페이지

private int totalCount = 1; //총게시물 수

private int pageSize = 5; //한페이지 출력할 게시물 수

private int startGroup = 1;

private int group = 10;

private int pageCount = 0;//총 페이지 수


public void Page_List()

{

string page = null;

 

pageCount = (int)Math.Ceiling((double)totalCount / pageSize);

startGroup = ((currentPageIndex - 1) / group) * group + 1;

 

//처음으로

if (startGroup != 1)

{

page = String.Format("<a href='javascript:DoPage({0})'>{1}</a>",1,"처음");

}

 

//이전 버튼

if (startGroup != 1)

{

page += String.Format("<a href='javascript:DoPage({0})'>{1}</a>",startGroup - group,"이전");

}

//페이지 있는곳까지 돌아라

int loop = 1;

while (loop <= group && startGroup <= pageCount)

{

if (startGroup == currentPageIndex)

{

page += String.Format("<span>{0}</span>", startGroup);

}

else

{

page += String.Format("<a href='javascript:DoPage({0})'>{1}</a>",startGroup,startGroup);

}

 

loop++;

startGroup++;

}

 

//현재 페이지의 뒷 페이지로

if (startGroup <= pageCount)

{

page += String.Format("<a href='javascript:DoPage({0})'>{1}</a>",startGroup,"다음");

}

 

// 마지막 페이지로

if (startGroup < (pageCount + 1))

{

page += String.Format("<a href='javascript:DoPage({0})'>{1}</a>",pageCount, "마지막");

}

Label lblPage = new Label();

lblPage.Text = page;

pnlPageNumber.Controls.Add(lblPage);

}


코드가 참 길죠~^^;;;;; 
위에 보시면 pageCount, startGroup 머리를 아프게하는 녀석들이 있죠~!그러나 우리가 페이징을 구현하기위해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식이라 어쩌면 편하게 느껴질수도 있겠네요~ㅋ 모~쉽게 이해 하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총 페이지 수를 알아내기 위해서 (전체 레코드 수 - 1) / 한 페이지의 크기 + 1 이라는 연산을 수행하는 부분인 것이지요. 그리고 그 밑으로 쭈욱~나왔는 조건들..ㅋ 딱 보시면 아하~하실것입니다. 아님.."왜 이렇게 지저분하게 했냐"라는 느낌이 들수도 있는 부분이겠네요~! 그러나 저는 부끄러워 하지 않겠습니다. 저같이 머리 나뿐 초보개발자가 이렇게라도 표현을 했다는것이...정말 대견스럽지 않습니까..ㅋㅋ^^;;(죄송합니다) 아~다시 돌아와서 위에 String 형식의 변수를 선언해서 해당 조건에 걸리면 <a>크로 만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 보시면 Label를 동적으로 생성을해서 Text값을 지정하고 있이요.대충 감이 오셨겠군요 그리고 나서pnlPageNumber라는 Label에 추가 해주고 있습니다. pnlPageNumber는 어디붙은 녀석이나면요. 아래 코드를 참고해주세요~

.aspx페이지

 <%-- ###################### 방명록 리스트 시작 ##################### --%>

<asp:Panel runat="server" ID="pnl_dataList" Style="width: 100%;">

<asp:DataList ID="DataList1" runat="server" OnItemDataBound="DataList_databound">

<HeaderTemplate>

<table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width: 600px;">

<tr><td colspan="5">

<div id="list_title" style="color: #CC6666; text-align: center; font-size: 18pt;

background-color: #CCCCCC;">방명록 List 입니다~^^</div></td>

</tr></table>

</HeaderTemplate>

<ItemTemplate>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style="width: 600px; border: 1px solid #959695;">

<tr><td class="td_img" rowspan="3"><span id="list_icon" runat="server"></span></td>

</tr>

<tr style="height: 50px;"><td class="td_txt">&nbsp;닉네임</td>

<td class="td_Box"><%# Eval("b_name") %></td>

<td class="td_txt">작성시간</td>

<td class="td_Box"><%# Eval("b_time") %></td>

</tr><tr style="height: 150px;"><td colspan="4" style="padding: 5px;">

<table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width: 100%; height: 100%;">

<tr><td colspan="3" style="border: 1px solid #959695; width: 95%;">

<span id="span_content" runat="server"></span></td></tr>

<tr><td class="td_txt" style="width: 50px; height: 20px;">아이피</td>

<td><%# Eval("b_ip") %></td><td>

<img alt="" style="cursor: pointer;" src="images/btn/imgDel.gif" id="Imgbtn_Delete"

onclick="content_Delete('<%# Eval("b_seq")%>')" />

</td></tr></table>

</td></tr>

</table>

</ItemTemplate>

</asp:DataList>

 <asp:Label ID="pnlPageNumber" runat="server"></asp:Label>


</asp:Panel>

<%-- ################# 방명록 리스트 끝 ####################### --%>


이렇게 하면 페이징이 리스트 아래부분에 나타나겠지요~!그리고 javascritp 함수를 호출하도록 했기때문에 클릭하면 javascript 함수가 호출하겠지요. 소스는 제일위에 있내요.DoPage(current)라는 인자값으로 보여질페이지의 번호를 넘기도록 합니다. 그래서HiddenField에 값을 지정(currentPageIndex 변수값이됨)하고 해당 링크 이벤트를 발생하게 합니다. 이벤트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Guest_Board.aspx.cs페이지

protected void pageBind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ListBind();

}


간단하게도 ListBind 메소드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아까 위에서도 마지막 부분에 ListBind를 호출하는 소스를 보셨을 텐데요 그럼 ListBind 메소드 코드를 보도록 하시지요~!

Guest_Board.aspx.cs페이지

 protected void ListBind()

{

int sum = (currentPageIndex - 1) * pageSize;

string query = String.Format("SELECT TOP {0} b_seq,b_name,b_content,b_ip,b_time,b_icon FROM guest_board WHERE b_seq NOT IN (SELECT TOP {1} b_seq FROM guest_board ORDER BY b_seq DESC)ORDER BY b_seq DESC", pageSize.ToString(), sum);

bclass.Query = query;

bclass.Procedure(3);

this.DataList1.DataSource = bclass.dataset;

this.DataList1.DataBind();

}

페이징을 위한 쿼리를 만들어서 날리는 부분이네요.(그냥 프로지져로만들면 편하겠네요) 켁~!부끄럽네요. 너무 허접해서리..ㅋ지금까지 보오셨던 데이터베이스 연결 구분과 똑같습니다.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지금까지 제가 썼던..강좌(!? 강좌라고 하는 좀 부족하죠..ㅋ)를 보시면 bclass는 이해하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코드 마지막쯤에 보시면 DataList DataSource는 정의하고 있네요. 그에 관련된 소스들을 그냥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boardClass.cs 페이지

private DataSet ds = new DataSet();

public string Query

{

set { query = value; }

}

 

public void Procedure(int num)

{

      .. 중간 생략 ..

else if (num == 3)

{

ds = dcon.GetDataSet(query);

}

 

}

public DataSet dataset

{

get { return ds; }

set { ds = value; }

}

dbclass.cs페이지

public DataSet GetDataSet(string procedure)

{

public SqlDataAdapter adapter = new SqlDataAdapter();

adapter.SelectCommand = new SqlCommand(procedure, Conn);

DataSet ds = new DataSet();

adapter.Fill(ds);

return ds;
}


위 코드와 Property를 이용해서 DataSet 형식을 받아서 DataSource 를 지정해주게
됩니다.그리고나서 DataBind를 시키면 다시 새로운 원하는 페이지의 글들이 나타나게 되는 거지요~^^휴~이렇게 긴 내용을 다루려고 하니깐 정말 힘드네요~! 저도 배우는 입장에서 어떻게 설명을 해야할지.. 마구 막히는 부분이 있던것 같 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의 넓으신 아량으로 이해해 주세요~!

Posted by happydong
, |



ㅁ Excel 파일 내보내기...


Web 프로젝트를 하나 만듭니다.

만들었다면 테스트를 위한 리스트..즉 GridView 컨트롤을 사용해서 간단한 리스트 형식을 만들어 봅니다~!저는 아래 그림들과 같이 만들어 보았습니다.

1.그림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그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주 Simple 하지 않습니까~^^; 너무 없어보이나요.. 괜찮습니다. 이것은 단지 Test가 목적이기 때문에...복잡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림이제 "엑셀저장" 이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엑셀파일로 저장이 되게 하면 되겠군요..소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

// 엑셀 변환 버튼클릭 이벤트

    public void Click_Excel(object sender, EventArgs e)

    {

Response.Clear();

 

        //파일이름 설정

        string fName = string.Format("Test{0}.xls", DateTime.Now.ToString("yyyyMMddHHmmss"));

        //헤더부분에 내용을 추가

        Response.AddHeader("Content-Disposition", "attachment;filename=" + fName);

 

        //컨텐츠 타입 설정

        Response.ContentType = "application/unknown";

 

        StringWriter SW = new StringWriter();

        HtmlTextWriter HW = new HtmlTextWriter(SW);

 

        //새로운  GridView

        GridView GV = new GridView();

        GV.DataSource = SqlDateTest;

        GV.DataBind();

 

        GV.RenderControl(HW);

 

        Response.Write(SW.ToString());

 

        Response.End();

 

        HW.Close();

        SW.Close();

}

////////////////////////////////////////////////////////////////////////////////////////

위 소스는 버튼을 클릭후 일어나는 이벤트 부분에 정의한 코드 입니다. 간단한 예제를 위해 만든것 이므로 주석만 보아도 크게 물이 없이 이해하시리라 생각이 되는군요~!^^아니라면...음...위 소스가 꼭 정답은 아니기에 더 좋은 소스가 있다면 그러한 소스를 이용해서 만들어도 되겠네요
혹시 좋은 소스들있으면 같이 공유좀 해주세요~^^;; 갑자기 아부...ㅋㅋ
화면을 출력해서 보면...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3.그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을 위한 창이 나타나겠지요.. 해당 경로에 저장을 하고 나서 파일을 클릭하면 아래그림과 같이 잘 나타나내요~^^;;


4. 그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가 예제로 만든 파일도 올려놓을 거니깐 혹시나...아주 혹시나...ㅋㅋ 필요하신분 다운받아서 보세요.
혹시 제가 잘 못 이해하고 있는 내용이나, 더 추가되야 할부분이 있다면 바로바로 따끔한 한마디 부탁드리겠습니다~^^

Posted by happydong
, |



주의 : 해당 내용은 실버라이트 1.1버전을 내용을 작성된 내용입니다. 현재 나와 있는 버전과 차이가 있어 버그가 있을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무한도전] Silverlight 메뉴바 만들기 (6)


이제 마지막이 되겠군요! 코드비하인드에서는 어떻게 처리 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저는 아래 그림과 같이 크게 5가지로 설명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변수 선언 및 열거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Page.xaml.cs페이지 (변수 선언 및 열거)

 string URL = null;

 

enum SubMenu { Menu_1,Menu_2,Menu_3,Menu_4 }

 

SubMenu SM = SubMenu.Menu_1

 - URL 변수는 나중에 웹사이트 URL주소 값을 넣기위한 변수입니다.
 - SubMenu 열거형을 정의한것 입니다. 나중에  SubMenu 이벤트 조건에서 사용이 될 거예요! 그리고 초기화 "Menu_1"로 설정합니다.

2. Page_loader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Page.xaml.cs페이지 (Page_loaded)

public void Page_Loaded(object o, EventArgs e)

{

// Required to initialize variables

InitializeComponent();

 

//Main_Menu 이벤트

txt_m1.MouseEnter += new MouseEventHandler(txt_m1_MouseEnter);

txt_m2.MouseEnter += new MouseEventHandler(txt_m2_MouseEnter);

txt_m3.MouseEnter += new MouseEventHandler(txt_m3_MouseEnter);

txt_m4.MouseEnter += new MouseEventHandler(txt_m4_MouseEnter);

 

//Sub_Menu 이벤트

txtsub1.MouseLeftButtonDown += new MouseEventHandler(txtsub1_MouseLeftButtonDown);

txtsub2.MouseLeftButtonDown += new MouseEventHandler(txtsub2_MouseLeftButtonDown);

txtsub3.MouseLeftButtonDown += new MouseEventHandler(txtsub3_MouseLeftButtonDown);

}


위 코드의 txt_m1,2,3,4MainMenuTextBlock 이벤트(onmouseover event와 같음)를 준 것입니다.마찬가지로 txtsub1,2,3 또한 TextBlock 이벤트(onmousedown event와 같음)를 준 것입니다.

3. Main_Menu 이벤트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Page.xaml.cs페이지(Main_Menu 이벤트)

//Maine 04

void txt_m4_MouseEnter(object sender, MouseEventArgs e)

{

SM = SubMenu.Menu_4;

 

Menu1_Story.Stop();

Menu2_Story.Stop();

Menu3_Story.Stop();

Menu4_Story.Begin();

 

SubText_Name("Google", "Yahoo", "MS");

}

//Maine 03

void txt_m3_MouseEnter(object sender, MouseEventArgs e)

{

SM = SubMenu.Menu_3;

 

Menu1_Story.Stop();

Menu2_Story.Stop();

Menu4_Story.Stop();

Menu3_Story.Begin();

 

SubText_Name("Hoons_NET", "Taeyo_NET", "Devpia");

}

//Maine 02

void txt_m2_MouseEnter(object sender, MouseEventArgs e)

{

SM = SubMenu.Menu_2;

 

Menu1_Story.Stop();

Menu3_Story.Stop();

Menu4_Story.Stop();

Menu2_Story.Begin();

 

SubText_Name("DW_blog1", "DW_blog2", "DW_Cyworld");

}

//Maine 01

void txt_m1_MouseEnter(object sender, MouseEventArgs e)

{

SM = SubMenu.Menu_1;

 

Menu2_Story.Stop();

Menu3_Story.Stop();

Menu4_Story.Stop();

Menu1_Story.Begin();

 

SubText_Name("NAVER", "DAUM", "NATE");

}

// SubMenu TextBlock Text 값지정

private void SubText_Name(string txt1, string txt2, string txt3)

{

txtsub1.Text = txt1;

txtsub2.Text = txt2;

txtsub3.Text = txt3;

}


코드가 길어 보이지만 알고 보면 별거 없습니다. 일단 마우스가 해당객체의 위에 올라왔을 때 이벤트를 발생시키 겠지요. 그럼 해당 이벤트는 먼제 SM(열거형)값을 정의해 줍니다. 그래야 SubMenu에서 링크를 알맞게 걸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부분은 차후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아무튼 정의해 줍니다. 그리고 나서 우리가 만들었던 4개의 StroyBoard중에서 해당 객체에 관련된 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3개는 Stop()메소드로 지정합니다. 그렇게 하지않으면 StroyBoard가 몇개씩 겹치겠지요~^^;;그러면 안되잖아요.그리고 나서 SubText_Name 메소드를 호출합니다. SubText_Name은 인자값 3개를 받습니다. 인자값으로는 SubMenu의 이름이 되겠지요~! SubText_Name 메소드 코드를 보시면 "아하~"하실 겁니다~!!^^;;

4. Sub_Menu 이벤트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Page.xaml.cs페이지(Sub_Menu 이벤트)

 //sub 01

void txtsub1_MouseLeftButtonDown(object sender, MouseEventArgs e)

{

if (SM == SubMenu.Menu_1)

URL = "http://www.naver.com";

else if (SM == SubMenu.Menu_2)

URL = "http://blog.naver.con/kdw8751";

else if (SM == SubMenu.Menu_3)

URL = "http://www.hoons.kr";

else if (SM == SubMenu.Menu_4)

URL = "http://www.google.co.kr";

 

Link();

}

//sub 02

void txtsub2_MouseLeftButtonDown(object sender, MouseEventArgs e)

{

if (SM == SubMenu.Menu_1)

URL = "http://www.daum.net";

else if (SM == SubMenu.Menu_2)

URL = "http://drum-83.tistory.com";

else if (SM == SubMenu.Menu_3)

URL = "http://taeyo.net";

else if (SM == SubMenu.Menu_4)

URL = "http://kr.yahoo.com";

 

Link();

}

//sub 03

void txtsub3_MouseLeftButtonDown(object sender, MouseEventArgs e)

{

if (SM == SubMenu.Menu_1)

URL = "http://www.nate.com";

else if (SM == SubMenu.Menu_2)

URL = "http://www.cyworld.com/ww7747";

else if (SM == SubMenu.Menu_3)

URL = "http://www.devpia.com";

else if (SM == SubMenu.Menu_4)

URL = "http://www.microsoft.com/korea";

Link();

}

위 코드는 사용자가 해당 SubMenu를 클릭했을때 해당 URL 값을 지정하는 것입니다.그리고 여기서 조건은MainMenu1온것인지..2에서 온것인지..3에서 온것인지 확인 하는 조건이죠. 해당 URL값을 지정했다면 Link()메소드를 호출하게 되는 겁니다.

5. 링크 연결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Page.xaml.cs페이지(링크 연결)

 using System.Windows.Browser;

...

private void Link()

{

HtmlPage.Navigate(URL, "test");

}


위 코드는 아주 간단합니다. 링크를 연결해 주는것 일뿐이죠.HtmlPage.Navigate 함수를 쓰기 위해서는 using System.Windows.Browser; 를 선언해 주어야 합니다.

지금까지 간단한 메뉴바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혹시 잘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제 소스를 올려놓겠습니다. 제가 처음으로 실버라이트를 이용해서 만들어본 프로젝트라 정말 뿌듯합니다^^; 다음에는 더욱더 멋진 걸 만들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happydong
, |